인간 이해와 사랑의 실천 : 공자
유학은 인을 중심으로 하교 효제 충서 등을 그 실천 요목으로 삼는 도덕 사상으로 공자가 집대성하였다. 유학의 특징은 인간 중심주의에 있따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인간이 현실 속에서 어떻게 스스로를 완성해 갈 수 있으며, 또 현실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반영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실천성의 문제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공자는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는데 어찌 귀신을 섬기겠는가 라고 하였고 삶고 잘 알지 못하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라고 답하였다. 이 점에서 공자의 관심을 귀신이 아닌 중음이 아닌 삶에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유가의 모든 이론들은 이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덕적인 측면에서 소인과 군자를 구별함으로써 학문의 목적이 뚜렷이 내세우고 교육의 역할과 가능성을 긍정하였다고 할 수 있다. 군자는 경을 토앟여 내면적으로 성숙하고 의를 통하여 외면적으로 완성하는 동시에, 안인과 안백성으로 국가 사회에 이바지함으로써 수기치인의 도를 실천하고 실현한다.
도덕과 인성의 관계를 논하기에 앞서 우선, 도와 덕을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도는 인간의 근원인 하늘을 근거로 하는 인간 행동의 원리로서 시공을 초월한 자연의 기본 원리인 형이상자적 보편 원리이다. 반면, 덕은 시공에 대처한 인간 행위에 나타난 도의 구현, 또느 행위의 도덕적 원칙이나 사물의 특성을 가리키는 범주로서, 도덕 근원으로부터 부여받은 조재 내면의 도덕적 성품이나 도덕적 능력이자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형이하학적 실제 행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공자 사상의 핵심은 인이라고 할 수 있다. 덕육을 기초로 하는 공자의 고덕 교육 사상은 인간다움이라는 보편적인 실천 원리인 인을 핵심내용으로 하고, 도덕 주체가 당면한 현실에서 구현되는 도덕적 행위 규범인 예를 외형적 요소로 한다. 교육 방법론의 측면에서 수기와 치인이라는 내재적 수양 방법과 도덕 교화 방법을 구분하자면 사회 문제 해결의 관건은 덕과 예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도덕적 선한 본성의 회복과 확충 : 맹자
맹자는 그 증거로 사함에게는 남에게 차마 못하는 어진 마음이 있다는 것을 내세웠다. 즉 맹자는 인간에게 불인인지심이 있다고 하여 그것을 인에서는 측은, 의에서는 수오, 예에서는 사양, 지에서는 시비라 하며, 이 네가지를 사성의 단이라 하였다. 맹자는 도덕적 본성을 어떻게 제대로 구현할 것인가를 중시했으며, 그 방법들로 호연지기를 기를 것, 욕심을 줄일 것등을 강조했다. 기본적으로 맹자에 나타나는 윤리학적 범주와 범주 사이의 상호관계는 근원적으로 공자의 사상 체계와 밀접한 관계까 있다. 맹자는 공자의 예치 사상과 도덕 정치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인정으로 대표되는 왕도 사상을 주장하였다. 맹자가 말하는 왕도는 덕으로 정치를 하는 것이다. 즉, 왕도정치의 관건은 교육에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욕망의 조절과 사회적 규범의 확립: 순자
순자를 예를 주장하여 성악을 설명하오 있는데, 그의 인성론의 핵심은 정의 반응으로서의 욕망이 무한하다는데서 출발한다. 익간의 욕망이 필연적으로 투쟁을 낳고 혼란으 야기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성을 악으로 규정한 것이다. 무릇 본성이란 타고난 대로 말하는 것이니, 배워서 되는 것이 아니고 행동해서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예의는 성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것이니, 배우고 노력하면 되는 것이다. 배우지 않고 행하지 않으며 그대로 있는 것을 본성이라 하며, 배우고 노력해야 되는 것을 인위라 하니 이것이 성과 위의구별이다. 순자는 학문의 최종 목적을 예의 확립에 두었다. 예는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악한 인성을 선으로 교화할 수 있는 교정의 틀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순자에게 예란 인간 내면의 본래성의 구현이 아니고 요청된 행위 규범으로 파악되며 이런한 관점에서 인간의 사회성이 강조된다. 순자이 도덕 교육은 본성을 변화시켜서 도덕인을 만드는 화성기위 개념으로 설명될 수 이싿. 자기 성찰을 통한 수양의 과정이며, 사회가 요청하는 이성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자기 변화의 과정이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 윤리학과 도덕 교육2 (0) | 2022.05.26 |
---|---|
서양 윤리학과 도덕 교육 (0) | 2022.05.25 |
사회과 지기 영역의 지도 (0) | 2022.05.24 |
사회과 역사 영역의 지도 (0) | 2022.05.24 |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원리 (0) | 2022.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