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도덕과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by 소티 2022. 5. 30.

도덕과 학습 지도의 기본 원리

 

정학성의 원리란 수업 목표와 내용, 방법 사이에 논리적, 실제적 일관성과 통일성이 이뤄져야 함을 말하는 것이다. 어떤 방법이든지 그것이 독립된 자체로서 의미가 있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지도 방법을 선택할 때에는 도달하려는 목표와 다루는 내용의 성격을 잘 살펴 그것에 적절한 수단을 취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인지화의 원리란 도덕 수업을 통해 옳고 곶ㅎ은 삶에 대한 지적 기반을 잘 마련해야 함을 뜻한다. 따라서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무엇을 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하는지, 그 이유와 근거는 무엇인지 등을 명확히 알고, 나아가 도덕적 문제 사태에서 옳고 좋은 행동이 무엇인지 바르게 사고하고 판단하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심정화의 원리란 어떤 도덕적 가치 규범과 관련하여 이를 지적으로 이해하고 도덕적 문제 사태에서 바르게 판단하는 정도를 넘어, 그 가치 규범을 좋아하고 존중하며 이를 기꺼이 실천하고자 하는 의욕과 열정, 의지를 지니도록 이끄는 학습 지도의 원리이다. 행동화의 원리란 교사가 도덕과 학습 지도 과정에서 학생들이 도덕적 가치 규범을 알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욕을 지니게 함은 물론 이른 바탕으로 구체적인 생활 장면에서 그 가치 규범을 행동으로 실천하는데까지 나아가도록 그에 필요한 행위 성향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원리이다. 통합성의 원리란 도덕적 가치 규범을 지도함에 도덕적 덕성과 인격그이 의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이 조화롭게 형성되도록 지도 방법과 교수 학습 과정을 고려하는 원리를 말하는 것이다. 앞에서 도덕과 학습 지도가 인지화 심정화 행동화의 원리에 따라야 함을 보았다. 도덕과 수업에서는 이렇게 덕을 구성하는 세 측면 각각에 초점을 맞춰 들어가는 동시에 학습 지도의 전체 과정에서는 이들 세 측면을 조화롭게 형성하려는 노력 또한 기울여햐 한다.

 

지적 도덕적 발달단계 고려의 원리는 학생들의 인지적 도덕적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그 특성에 맞는 적절한 학습 지도가 이뤄져야 함을 의미한다. 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종합해 볼 때 대체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어떤 도덕적 가치 규범을 제시하고 이를 모방하거나 수용하게 하면서 칭찬, 시인, 보상과 같은 강화 기제나 벌 등을 적절히 확용해 반복, 실천하게 한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고학년으로 갈수록 도덕적 가치 규범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도모하고 건전한 신념화를 꾀하는 동시에 스스로 판단하고 합리적으로 결정, 선택한 후 이를 실천에 옮기도록 하는 방법을 추구해야 한다. 자율적 탐구 학습의 원리는 도덕과 교육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발견하며 창조하는 가운데, 앎을 재구성하고 깊이 깨달아 주체적인 신념과 태도를 형성하게 하고자 하는 원리이다. 이는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목적지향적인 활동으로 재구성 또는 발명이나 창조되는 것이다고 보는 구성주의 교수 학습 이론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기도 한다. 주체적 ㄱ자각화와 개별화의 원리는 학생 개개인이 도덕적 가치 규범을 주체적으로 자각하여 자신의 도덕적 신념과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낟. 도덕적 학습 지도는 채데로 학습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도덕적 가치 규범에 대한 이해와 신념화가 집단 수준에서 대체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수준에서 그칠 떄가많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의 궁극적인 도달점은 학생 개개인의 마음과 생각, 행동의 구체적인 변화를 일으키는데 있다는 것을 염두헤 두고, 학생 개개인이 도덕적 가치 규범을 주체적으로 깊이 꺠닫고 자신의 도덕 생활에 변화를 이르킬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과 학습 지도 방법  (0) 2022.05.31
도덕과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2  (0) 2022.05.30
도덕과 교육의 과제  (0) 2022.05.27
도덕 심리학의 기초2  (0) 2022.05.27
도덕 심리학적 기초  (0) 2022.05.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