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 체험을 통한 가치 학습 방법
실천 체험 활동에 의한 가치 학습 방법이란 학생들이 직접적인 실천과 체험 호라동을 통해 도덕적 가치 규범의 참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고, 도덕적 문제에 대해 깊이 사고하고 판단하게 하며, 나아가 그 가치 규범을 생활 속에서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 성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는 방법이다. 이러한 실천, 체험 활동을 통한 가치 학습 방법을 그동안 실행됐던 우리의 도덕 교육 방법상의 문제점에 대해 반성의 측면에서 그리고 앞으로의 도덕과 교육은 직접 실행하면서 체험으로 배우는 방향으로 변화되지 않으면 안 되다는 사회적, 교육적 요청에 부응하면서 그 의의가 매우 큰 학습 방법이다.
실습 실연법은 바람직한 도덕 행동을 직접 실행해 보도록 하거나 있을 법한 상황을 연출하고 실연해 보면서 익히도록 함으로써 도덕의 실천화, 행동화를 도모하려는 방법이다. 도덕과 학습 지도에서는 구체적인 도덕 행동을 직접 실습하거나 실연해 보면서 몸으로 익혀야 하는 경우가 많다. 현장학습법은 교실 안팎의 생활 현장에서 도덕적 삶과 관련되는 문제들을 학생들이 직접 탐구하고 구체적으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도덕적 가치 규범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을 심화하고 건정한 도덕적 태도와 실천력을 기르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자기 주도적 학습 의욕을 높이고, 도덕 생활과 관련한 현상을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탐색, 파악하게 함으로써 도덕적 가치에 대해 분석적이면서도 종합적인 히애와 도덕적 심정화와 실천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장점이 있다.
덕목 실천 학습법은 학생들이 어떤 특정 가치나 덕목을 직접 실행하면서 구체적으로 학습하게 함으로써 그 가치나 덕목에 관한 인격 특성을 집중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방법을 말한다. 도덕과 교육의 본질과 특성은 필요한 도덕적 덕을 조화롭게 길러 유덕한 인격을 지닌 사람을 길러 내는 데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치 덕목에 따라 그것에 걸맞는 학습법이 개발되고 적용돼야 한다. 이러한 덕목 실천 학습법의 예로는 우리 주변에서 익숙한 렵동학습법, 봉사활동법, 공감능력 기르기, 자체적 기르기, 배려 능력 기르기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집단 수련 활동법은 학생들이 심신을 단련하는 집단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건강한 몸과 강인한 정신력, 공동체 의식, 협동 정신과 책임의식, 이타심과 봉사정신을 구체적으로 체득해 건전한 덕성을 기르는 데 이바지하고자 하는 방법을 말한다. 집단 수련 활동 법에는 집단 활동과 수게 하는 방법이다. 단련 활동이라는 두가지 특장점이 있다. 집단 활동의 특성은 집단이나 단체가 건전한 가치관과 규범을 갖고 있다면, 그만큼 개인에게 건전한 의식과 신념, 태도를 형성시킬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이다. 또한 수련활동은 마음과 몸 두가지 모두 단견하는 장점이 있다.
침여적 실천 체험 활동은 학생들이 학교 내외의 도덕 교육적 활동에 참여하게 하고 그 속에서 직접적인 실천과 체험 활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건전한 가치관과 공동체 의식 그리고 바람직한 민주적 생활 양식을 익히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직접적인 실천과 체험활동의 기회를 부여하는 데 중요한 장점을 지닌다. 학생들은 이러한 기회와 과정을 통해 스스로 도덕적 가치 규범의 의미와 중요성을 꺠닫고 내면화 함으로써 바람직한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고 도덕적 행위 기능과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받게 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 교육의 관점 (0) | 2022.06.02 |
---|---|
도덕과 평가 방법 (0) | 2022.06.01 |
도덕과 학습 지도 방법2 (0) | 2022.05.31 |
도덕과 학습 지도 방법 (0) | 2022.05.31 |
도덕과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2 (0) | 2022.05.30 |
댓글